Overview
Kibana의 Report기능을 통해서 검색한 Log data를 file로 download하는 방법을 소개
Kibana의 Report 설정
1. Kibana configmap 수정
아래의 xpack.reporting.enabled 설정을 false에서 true로 변경
apiVersion: v1
kind: ConfigMap
metadata:
name: kibana-config
namespace: zcp-system
data:
kibana.yml: |-
server.name: kibana
server.host: "0"
server.port: "5602"
elasticsearch.url: "http://elasticsearch:9200"
xpack.monitoring.enabled: true
xpack.security.enabled: false
xpack.graph.enabled: false
xpack.reporting.enabled: false
xpack.ml.enabled: false
kibana.defaultAppId: "dashboards"
수정하는 방법은 아래 2가지가 있음
올라가 있는 Kibana configmap을 수정
# nxpack.reporting.enabled: false 부분의 false를 true로 변경
$ kubectl edit configmap kibana-config
# Please edit the object below. Lines beginning with a '#' will be ignored,
# and an empty file will abort the edit. If an error occurs while saving this file will be
# reopened with the relevant failures.
#
apiVersion: v1
data:
kibana.yml: "server.name: kibana\nserver.host: \"0\"\nserver.port: \"5602\"\nelasticsearch.url:
\"http://elasticsearch:9200\"\nxpack.monitoring.enabled: true \nxpack.security.enabled:
false\nxpack.graph.enabled: false\nxpack.reporting.enabled: false\nxpack.ml.enabled:
false\nkibana.defaultAppId: \"dashboards\""
kind: ConfigMap
metadata:
creationTimestamp: "2019-11-26T12:21:19Z"
name: kibana-config
namespace: zcp-system
resourceVersion: "220681"
selfLink: /api/v1/namespaces/zcp-system/configmaps/kibana-config
uid: aca2d93f-5e6a-4a9b-a824-a0b9f636148c
Kibana configmap을 수정해서 다시 반영
# configmap download
$ kubectl get configmap -o yaml kibana-config > kibana-config.yaml
# configmap 수정
# nxpack.reporting.enabled: false 부분의 false를 true로 변경
$ vi kibana-config.yaml
# 수정한 configmap 반영
$ kubectl apply -f kibana-config.yaml
2. kibana deployment 재시작
# kibana deployment scale down
$ kubectl scale deployment kibana --replicas 0
# kibana deployment scale up
$ kubectl scale deployment kibana --replicas 1
Kibana에서 Log 저장하는 방법
1. ZCP console에 접속해서 Logging Menu 클릭
2. kibana의 Discover menu 클릭
3. 추가된 [Reporting] Menu 확인
4. 저장하고자 하는 Log가 있는 index를 선택
Discover의 좌측 상단에 있는 default index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index로 변경
5. 저장하고자 하는 Log를 검색
먼저 원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(1번)
<주의> 너무 긴 기간을 선택해서 log data가 많을 경우 검색 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음
여러 번 실행 시 성공할 수도 있지만, 적정한 data양을 선택할 것
우측 상단의 돋보기 아이콘을 눌러서 검색실행 (2번)
예시에서는 한 주(This week)를 설정
6. [Save] 버튼을 눌러서 검색된 Log를 저장
우측 상단의 [Save] 버튼을 누른 후 (1번)
저장하고자 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(2번)
하단의 [Save] 버튼을 클릭 (3번)
7. [Reporting] 버튼을 눌러서 CSV형태로 출력
우측 상단의 [Reporing] 버튼을 누른 후 (1번)
[Generate CSV] 버튼을 클릭해서 파일로 저장 (2번)
저장되면 화면 우측 하단에 저장되었음이 표시됨
저장된 Log 확인
1. Management Menu로 이동
좌측 메뉴 중 [Management] 클릭 (1번)
우측 화면에서 [Reporting] 메뉴 클릭 (2번)
2. Reporting된 내용을 확인 후 저장
저장된 Document 우측의 Actions의 Download 아이콘 클릭
창의 하단에 저장되는 것이 표시됨
3. 저장된 파일 확인
저장된 파일을 열어서 내용 확인